반응형
LCL은 컨테이너 한 대를 다 채울만한 양이 되지 않아
목적지가 동일한 다른 화주들의 제품들과 같이 혼재하여 선적하는 것입니다.
컨테이너 한 대의 운임이 아닌 내가 사용한 SPACE만큼의 운임을 내는 것으로 비용 절감이 되나
LCL은 FCL로 진행했을 때 지불하지 않은 부가적인 비용들이 있습니다.
그래서 오히려 FCL 컨테이너 1대로 진행했을 때보다 LCL로 진행했을 때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그리고 도착지에서 디베닝(적출) 작업을 하기 때문에 급한 화물일 때도 LCL보다는 FCL로 진행하는게 나을 수도 있어요.
FCL은 터미널에 반입만 되면 화물을 들고갈 수 있지만
LCL은 터미널에 반입되고 창고로 운송하여 순차적으로 디베닝(적출)을 한 후 창고 반입까지 되어야 출고가 가능해요.
디베닝 작업할 컨테이너가 1대가 아니기 때문에 순서가 있고 또 주말에는 작업을 안하거나 출고가 안되는 경우 등 변수가 있습니다.
(화주분 출장에 맞춰 중국에 LCL로 화물을 보냈는데 무슨 사유로 디베닝 작업이 일주일동안 되지 않아 울뻔한 적이 있습니다ㅠㅠ)
여기서 포워딩은 화주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FCL과 LCL 비교견적하여
더 나은 방법을 제시하여야 합니다.
- 화주로부터 도착지, 출항일자, 화물 수량, 중량, 사이즈 정보를 받는다.
- 콘솔사로부터 받은 스케줄을 참고하여 부킹한다.(부킹은 거의 네이트온 메신저나 메일로 하는데, 화주한테 전달받은 도착지, 출항일자, 화물 수량, 중량, 사이즈 정보를 그대로 전달하면 되요.)
- 화주한테 스케줄을 안내한다. (서류마감, 입고마감, 출항일, 도착일 등의 정보)
- 운송사에 PACKING LIST 서류와 BOOKING NO. 전달한다.(도착보고는 필수, 운송사에서 알아서 해주세요.)
- 화주한테 전달받은 PACKING LIST & COMMERCIAL INVOICE를 토대로 HOUSE B/L을 작성한다.
- 콘솔사 측에 S/R과 면장을 전달한다.
- LCL로 진행할 경우 EDI는 할 필요없다.
- HOUSE B/L을 화주한테 전달한다.
- HOUSE B/L과 MASTER B/L을 해외 파트너한테 전달한다.
반응형
'포워딩 관련 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포워딩,수출입]물류비용 관련 용어정리(THC, DOC, WFG 등) (0) | 2021.11.08 |
---|---|
[포워딩 수출입]전직 포워딩 직원이 느낀 포워딩 업무의 장단점 (0) | 2021.10.12 |
[포워딩,수출입]부산 터미널 장치장 코드(북항, 신항) (0) | 2021.09.28 |
[포워딩, 수출입]SWB(SEAWAYBILL) & SURRENDER BL (0) | 2021.09.26 |
[포워딩, 수출입]해상 화물 위치 조회 - 현재 모선(VESSEL)위치 확인하기 (0) | 2021.09.25 |